이슈있소

혈액순환 잘되는 약 종류별 효능 효과 & 부작용 본문

트렌딕, 앎을 선도하다

혈액순환 잘되는 약 종류별 효능 효과 & 부작용

αβγ 2023. 5. 18. 16:46

'혈액순환 잘되는 약 종류별 효능 효과 & 부작용' 포스팅을 시작해보도록 하겠다. 혈액순환제는 혈액이 전신의 혈관에 원활히 흐르도록 하는 약물이다. 크게 동맥순환개선제와 정맥순환개선제로 나뉜다.

 

동맥순환개선제는 뇌, 눈, 말초혈관 등에 작용해 이명, 어지러움, 손발 저림, 냉감 등을 개선시킨다. 정맥순환개선제는 다리 부종, 정맥류, 치질 등의 증상을 개선한다.

 

혈액순환개선제는 작용 부위에 따라 사용되는 약이 다르고 전문의약품 뿐만 아니라 일반의약품인 제품도 있다. 혈액순환을 돕는 역할을 할 뿐 혈관 질환의 치료제는 아니기 때문에 혈액순환제 투여 전 혈액순환 장애의 근본적 원인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혈액은 심장의 좌심실에서 나와 동맥을 통해 온몸을 지나면서 조직 세포에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받은 뒤 정맥을 통해 우심방으로 돌아온다. 심장에서 조직에 이르는 과정을 동맥순환, 조직에서 심장으로 되돌아오는 과정을 정맥순환이라고 한다.

 

동맥 내에 혈전이나 콜레스테롤 등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면 혈류량이 줄어 동맥순환 장애가 생긴다. 심장 기능이 떨어져 혈액을 강하게 밀어내지 못할 때도 동맥순환 장애가 나타난다. 고혈압, 당뇨, 혈관질환 등에 의해서도 생긴다. 증상은 장애가 생긴 부위에 따라 다르지만 주로 통증이나 마비 증상이 나타난다.

 

동맥순환개선제는 작용 부위에 따라 뇌순환 개선, 눈의 망막 순환 개선, 말초 순환 개선 등에 사용된다. 전문 의약품으로는 시티콜린(뇌순환 개선), 이부딜라스트(만성뇌질환장애로 인한 어지러움), 니세르골린(만성뇌순환장애로 인한 의욕 저하), 칼리클레인(망막 순환 장애) 등이 있다. 일반 의약품인 아스피린은 혈전 생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비타민E인 토코페롤은 말초순환장애에 사용된다.

 

정맥순환 장애는 혈액이 정맥을 통해 심장으로 돌아오는 과정에서 정맥 혈관이 늘어나거나 혈류 흐름을 조절하는 판막이 약화된 경우에 나타난다. 주로 다리에 나타나고 혈액이 한 곳에 고이면서 다리가 붓고 걸을 때 통증을 느끼게 된다. 정맥혈관이 부풀어 오르면서 울퉁불퉁 튀어나온 하지정맥류나 치질도 정맥순환 장애에 해당한다.

 

정맥순환개선제 역시 작용 부위에 따라 다양한 약들이 사용된다. 나프타존(정맥부전 증상, 정맥류), 도베실레이트(정맥기능부전, 치질), 포도씨건조엑스(정맥 림프부전 증상) 등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인 포도엽엑스(만성 정맥부전 증상) 등이 사용된다.

 

혈액순환개선제를 복용할 때는 부작용에 유의해야 한다. 동맥순환개선제는 지혈을 지연시키거나 출혈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이부딜라스트는 드물게 간기능 장애, 혈소판 감소, 황달 등을 일으킨다. 니세르골린은 드물게 기립성 저혈압, 요산 상승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아스피린의 흔한 부작용으로는 과민반응, 위장질환, 이명 등이 있다. 정맥순환개선제인 나프타존은 드물게 간장애, 신장애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이상 '혈액순환 잘되는 약 종류별 효능 효과 & 부작용' 포스팅을 마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