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있소
귀가 먹먹할 때 이충만감 원인 이관기능장애 치료법 (ft. 자가치료법) 본문
'귀가 먹먹할 때 이충만감 원인 이관기능장애 치료법 (ft. 자가치료법)' 포스팅을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귓속에 뭐가 차 있는 듯한 ‘귀 먹먹함’은 대부분 이관기능장애 때문에 발생합니다. 또 저음역 감각신경성 난청이 발생해도 비슷한 증상을 느낄 수 있습니다.
특히 귀와 코를 연결하는 이관기능에 장애가 생기면 귀 먹먹함 뿐만 아니라 귀 통증, 청력 저하, 중이염 등 다양한 귀 질환이 생길 수 있습니다.
때문에 ‘이충만감’으로도 부르는 귀 먹먹함이 의심되면 방치하지 말고 이비인후과에서 이관기능장애와 난청 발생 여부를 진단해서 원인에 따른 치료법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1. 귀 먹먹함 부르는 ‘이관기능장애’
귀 먹먹함(이충만감)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은 ‘이관기능장애’입니다. 이관은 코 뒤편과 귀를 연결하는 부위로, 고막 안쪽 공간인 중이와 고막 바깥쪽의 압력 차이를 조절합니다. 또 중이 내의 정화‧보호‧환기 등에 기여하는 기관입니다.
이관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귀가 먹먹한 느낌, 본인 목소리나 숨소리가 울려서 들리는 느낌, 이명(귀울림) 등의 증상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증상은 대부분 일시적으로 나타나지만, 지속적으로 이어지면 중이염이나 청력저하 같은 문제가 동반되기도 합니다. 때문에 귀 먹먹함이 계속 느껴지면 귀 내시경, 청력평가, 이관기능평가 등의 검사가 필요합니다.
※ 귀 먹먹함(이충만감) 원인
- 대부분 이관기능장애 때문에 발생
- 저음역 감각신경성 난청도 비슷한 증상 호소
※ 이관기능장애 시 느끼는 증상
- 귀가 먹먹한 느낌
- 본인 목소리‧숨소리가 울려서 들리는 느낌
- 이명(귀울림)
2. 이관기능장애는 왜 발생할까?
이관기능장애는 이관의 상태에 따라 이관이 닫히지 않고 계속 열려 있는 ‘이관 개방증’, 이관이 좁아져서 잘 열리지 않는 ‘이관 폐색증’ 두 가지 유형으로 진단합니다.
우선 ‘이관 개방증’을 일으키는 요인은 이관의 비정상적인 구조, 근육의 이상, 급격한 체중감소, 출산, 방사선 치료 등입니다. 이 같은 영향으로 평소에 닫혀 있어야 하는 이관이 지속적으로 열려 있습니다.
‘이관 폐색증’은 이관의 입구를 가로막고 있는 아데노이드, 코 뒤편의 종양, 구개열, 상기도 바이러스 감염, 만성 축농증, 알레르기 비염, 흡연 등의 영향으로 이관이 열려야 할 때 제대로 열리지 못하면 발생합니다.
※ 이관기능장애 유형 & 원인
1) 이관 개방증: 닫혀 있어야 할 이관이 계속 열려있는 상태
* 발생 원인
- 이관의 비정상적인 구조
- 근육의 이상
- 급격한 체중감소
- 출산
- 방사선 치료
2) 이관의 폐색증: 이관이 열려야 할 때 잘 열리지 않는 상태
* 발생 원인
- 이관 입구를 가로막고 있는 아데노이드
- 코 뒤편의 종양
- 구개열
- 상기도 바이러스 감염
- 만성 축농증
- 알레르기 비염
- 흡연
3. 이관기능장애 유형에 따른 치료법
귀 먹먹함을 개선하기 위한 이관기능장애 치료는 유형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우선 ‘이관 개방증’은 증상이 있을 때 고개를 아래로 숙이고, 물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 최근 급격한 체중감소가 있었다면 체중 회복을 시도해야 합니다. 증상이 만성적인 경우에는 이관 입구 부위를 좁게 해주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관 폐색증’은 코 세척, 비강 내 분무제, 환기관 삽입술 등을 시행합니다. 하지만 이 같은 방법으로도 증상 호전이 없거나, 유착성 중이염과 만성 중이염 등 이관기능장애에 따른 이차적인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관풍선확장술’을 시술하기도 합니다.
이관풍선확장술은 국소 또는 전신 마취 후 길이 약 20mm의 풍선카테터를 비강을 통해 이관 내로 삽입해서 이뤄집니다. 이후 카테터를 팽창시켜서 좁아진 이관을 확장해 증상을 완화시킵니다.
귀 먹먹함의 원인이 ‘저음역 감각신경성 난청’ 때문이면 증상 초기에 스테로이드제‧이뇨제 등 적절한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
※ 원인에 따른 귀 먹먹함 치료법
1) 이관 개방증
- 증상 발생 시 고개를 아래로 숙이고, 물 충분히 섭취
- 급격한 체중감소가 있었다면 체중 회복 시도
- 증상이 만성적이면 이관 입구 좁게 만드는 수술 고려
2) 이관 폐색증
- 코 세척
- 비강 내 분무제
- 환기관 삽입술
- 이관풍선확장술
3) 저음역 감각신경성 난청
- 증상 초기에 스테로이드제‧이뇨제 등 약물 사용
※ 기억하세요!
이관풍선확장술 시간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약 30분 정도면 시술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치료는 한 번의 시술로 증상을 반영구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이상 '귀가 먹먹할 때 이충만감 원인 이관기능장애 치료법 (ft. 자가치료법)' 포스팅을 마칩니다.
'트렌딕, 앎을 선도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명 초기 증상 & 치료법 (0) | 2023.05.09 |
---|---|
한쪽 귀에서 바람소리 나는 이명, 왜 생길까? (0) | 2023.05.09 |
가끔 한쪽 귀에서 삐 소리가 나요, 이명 원인 & 증상 (ft. 오른쪽 귀) (0) | 2023.05.09 |
귀에서 삐소리 이명, 삼차신경 이상 & 뇌압 상승이 원인 (ft. 압력차) (0) | 2023.05.09 |
귀에서 삐소리 이명, 뇌혈류장애일 수도 (ft. 먹먹함) (0) | 2023.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