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있소

고지혈증에 좋은 음식, 나쁜 음식, 올바른 식사법, 식단 식이요법 본문

트렌딕, 앎을 선도하다

고지혈증에 좋은 음식, 나쁜 음식, 올바른 식사법, 식단 식이요법

αβγ 2023. 10. 17. 14:26

고지방, 고칼로리 음식을 섭취할 때 주의해야 할 것은 바로 ‘콜레스테롤’입니다. 콜레스테롤은 우리 몸을 구성하는 세포막의 구성 성분으로 장기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호르몬을 만드는데 꼭 필요한 물질인데요. 혈관 강화 유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죠.

 

그러나 이러한 콜레스테롤이 혈관에 너무 많이 쌓일 경우 ‘고지혈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고지혈증 예방을 위해서는 어떤 음식을 먹고, 어떤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할까요?

 

다가오는 9월 4일 ‘콜레스테롤의 날’에 앞서 오늘은 고지혈증과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음식과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음식에 대해 살펴보려 합니다.

 

 

1. 고지혈증이란?

 

고지혈증은 핏속의 콜레스테롤이 정상 범위보다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총콜레스테롤이 240mg/㎗을 넘거나, 중성지방이 200mg/㎗ 이상일 때 고지혈증이라고 진단합니다. 혈중 콜레스테롤이 높거나 중성지방이 많으면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등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2. 고지혈증, 원인은?

 

(1) 비만

 

음식이나 운동 습관에서 칼로리 소비가 문제가 되어 고지혈증이 흔하게 나타납니다.

 

(2) 유전적 원인

 

콜레스테롤을 얼마나 많이 만들고, 혈액 내에서 얼마나 제거되는지 여부가 유전적으로 결정되기도 하는데요. 비만도 아니고 생활 습관에도 특별히 문제가 없는데 콜레스테롤이 높은 경우라면 유전적으로 고지혈증 체질을 가지고 태어났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3) 음식

 

기름기가 많은 육류, 달걀 노른자, 명란과 같은 알 종류, 새우, 오징어 등은 콜레스테롤이 많아 피해야 합니다.

 

(4) 술

 

술은 특히 중성지방혈증을 높이는 원인이 됩니다. 또한 술자리 안주들이 고칼로리가 대부분이므로 고지혈증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5) 질병

 

당뇨나 갑상선기능저하증, 신증후군과 같은 신장 질환에서도 에너지 대사에 문제가 발생하여 고지혈증이 동반되기 쉽습니다.

 

3. 고지혈증의 주요 증상은?

 

고지혈증은 혈관 내 찌꺼기가 끼면서 혈관이 좁아지는 ‘동맥경화’가 오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런데 동맥경화로 일부분 혈관이 좁아져 있을 때는 증세가 전혀 없습니다. 환자가 증세를 느끼는 시점은 이미 합병증이 발병한 시기인 경우가 많은데요.

 

머리 혈관이 막히면 뇌졸중으로 반신마비가 오거나 심장혈관이 막혀 생명에 문제를 일으키거나 다리 혈관 등이 막히는 말초동맥폐쇄질환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증세가 없을 때도 미리미리 주기적으로 혈액 검사를 하여 고지혈증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4. 고지혈증, 치료는?

 

고지혈증은 약 처방에 앞서 환자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 살핀 뒤 투약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위험요인을 많이 가진 환자는 더 적극적으로 치료를 해야 하기 때문이죠. 또한 다른 질환에 의해 이차적으로 생긴 고지혈증의 경우에는 원인 질환을 치료하는 게 우선입니다.

 

일반적으로 위험요인이 많지 않고 아주 심각한 고지혈증이 아닌 경우 3개월 정도 적절한 식사와 유산소 운동, 금연 등 생활 습관을 바꾼 후 재검사를 하게 됩니다. 그때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약물치료를 하게 되는데요.

 

단,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이 많거나,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 수치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약물치료를 일찍 시작하는 것이 혈관을 막히지 않게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명심할 것은 대부분의 고지혈증은 발병 원인을 해결한다고 해도 평생 관리하고 조절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5. 고지혈증의 올바른 식사법

 

식이요법은 모든 고지혈증 치료의 기본이 되는 첫 단계로 환자 개개인에 맞추어 시행해야 합니다. 목표는 동물성 지방의 섭취를 줄이고 이를 불포화지방으로 대체하는 것인데요. 만약 체중감소가 필요한 경우에는 총열량 섭취도 감소시켜야 합니다.

 

 

6. 고지혈증 예방법 3가지

 

고지혈증은 방치하면 위험한 중증혈관질환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건강한 식습관을 기르고, 운동을 하여 예방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고지혈증 예방법을 실천해주세요.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