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있소
관상동맥 석회화 원인 (ft. 고강도 신체활동) 본문
고강도 신체활동이 관상동맥 석회화 발병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정상적인 관상동맥에는 칼슘이 없지만 동맥경화가 진행되면 관상동맥에 칼슘이 쌓이기 시작하는데 관상동맥 석회화 지수가 높으면 심장혈관질환이 많이 발생한다고 알려졌다. 석회화 지수가 100이상이면 위험, 400이상이면 매우 위험한 것으로 간주된다.
강북삼성병원 순환기내과 성기철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11년부터 2017년 사이 강북삼성병원 종합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성인 2만5,841명을 대상으로 평균 5년간 추적 분석한 결과, 신체활동을 많이 할수록 석회화 지수가 높아졌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한 신체 활동 수준에 따라 ▲비활동자 ▲중간 활동자 ▲고강도 활동자로 분류한 뒤 관상동맥 CT를 이용해 석회화 지수를 측정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중간 활동자는 하루에 20분 이상 강한 강도로 일주일에 3회 이상 활동하거나 하루 30분 이상 중간강도로 일주일에 5일 이상 활동, ‘600 MET-min/주’에 도달하는 걷기 또는 격렬한 활동의 조합 중 5일 이상 활동하는 사람이다.
고강도 활동자는 ‘1,500 MET-min/주’를 달성한 강도로 3일 이상 활동하거나, '3,000 MET-min/주‘를 달성한 걷기 또는 왕성한 강도 활동의 조합으로 7일 활동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그 결과, 비활동자는 석회화 지수 9.45점, 중간 활동자는 10.2점, 고강도 활동자는 12.04점으로 나타나 신체 활동을 많이 할수록 석회화 지수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이들을 5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신체활동과 석회화 지수 증가의 연관성은 더욱 크게 두드러졌다. 고강도 신체활동자의 석회화 지수는 비활동자에 비해 8배 정도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순환기내과 성 교수는 “심장 질환 예방에 있어 운동은 필요한 것이고 관상동맥 석회화는 좋지 않은 것이라는 대전제는 무너지지 않지만 운동이 동맥경화반을 안정화 시키는 과정에서 관상동맥석회화 지수가 증가할 수 있다고 추정한다”고 말했다.
성 교수는 “이번 연구는 관상동맥 석회화가 운동 등에 의해 발생 또는 심화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어 관상동맥 석회화 지수를 임상에서 이용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는 결과를 시사한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해 영국 순환기학회 공식 학술지인 ‘HEART’에서 최우수 논문으로 선정됐다.
'트렌딕, 앎을 선도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상동맥석회화지수 검사방법 (0) | 2023.10.19 |
---|---|
건강검진 선택검사 종류별 가격 비용 (ft. 관상동맥 석회화 CT) (0) | 2023.10.19 |
뇌혈관에 좋은 차 & 건강한 차 종류 (0) | 2023.10.19 |
뇌출혈 & 뇌졸중에 좋은 효능 음식 식품 (0) | 2023.10.19 |
중풍에 좋은 효능 음식 식품 17가지 (ft. 나쁜 음식) (0) | 2023.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