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있소

어깨 염증 통증 어깨충돌증후군 원인, 증상, 주사 약물 치료 본문

트렌딕, 앎을 선도하다

어깨 염증 통증 어깨충돌증후군 원인, 증상, 주사 약물 치료

αβγ 2023. 10. 27. 10:43

최근 스쿼시를 배우기 시작한 직장인 A(34․여)씨는 며칠 전부터 어깨통증이 찾아왔다. ‘평소 안하던 운동을 해서 그런가보다’ 하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지만 통증은 갈수록 심해졌다. 급기야 옷을 입고 벗을 때 팔을 올리는 동작조차 쉽게 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최근 어깨질환 중 하나인 ‘어깨충돌증후군’을 호소하는 환자가 늘고 있다. 한 통계에 따르면 어깨질환 환자 가운데 약 30%가 어깨충돌증후군으로 고통 받고 있다고 한다. 어깨충돌증후근은 왜 생기는 건지, 원인과 치료법에 대해 알아본다.

 

 

1. 어깨충돌증후군 왜 생길까

 

어깨충돌증후군의 기본적인 원인은 노화현상에 의한 퇴행성 질환이다. 따라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많이 나타난다.

 

나이가 들면서 어깨관절에 퇴행성 변화가 오게 되면 견봉(어깨의 볼록한 부분)의 크기와 모양이 변하게 되고, 주위 인대도 두꺼워지면서 충돌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또한 반복적으로 머리위로 팔을 들어 올리는 동작을 많이 한다든지, 무거운 것을 많이 들어 올리는 경우, 너무 운동을 안 해 회전근개가 약해진 경우에도 충돌증후군이 잘 발생하게 된다.

 

젊을 때는 견봉과 어깨 근육 사이의 여유가 충분하지만 나이가 들어 근력이 약해지거나 반복적으로 어깨를 사용했을 때, 외상으로 다쳤을 경우에는 견봉과 어깨 근육 사이에 마찰이 일어날 수 있고, 잦은 마찰로 인해 어깨 근육에 염증이 생기면 충돌증후군이 생기는 것이다.

 

어깨충돌증후군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팔을 머리 높이, 혹은 머리 위로 들 때 통증이 느껴지는 것이다. 가끔은 팔을 움직일 때 어깨 속에서 무언가 걸리는 듯한 소리가 나기도 하며, 특히 낮보다 밤에 통증이 더 심하게 느껴진다.

 

2. 치료는 어떻게

 

(1) 재활 치료

 

만약 조기에 어깨충돌증후군을 발견했다면 어깨 사용을 줄이거나, 간단한 운동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하다. 충돌 증후군의 재활치료는 충돌 부위 염증 감소, 연부조직 스트레칭, 근력강화 3가지가 있다. 염증 및 통증 감소를 위한 물리치료로는 핫팩, 초음파, 전기 치료 등의 있다.

 

(2) 주사 치료

 

관절 내 국소 주사요법을 통해 견봉 아래 공간의 염증을 줄이는 방법이다. 스테로이드 주사는 염증이 있는 윤활낭과 회전근개의 부기를 감소시켜 견봉하 공간에서 회전근개 건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넓혀준다. 하지만 주사요법을 남용하면 오히려 어깨 회전 근육을 약화시킬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

 

(3) 수술치료

 

수술적 치료는 적어도 6개월간의 보존적 치료에 반응이 없을 때 시행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치료들로도 통증이 지속되면 회전근개파열 등 다른 질환이 동반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MRI 검사를 통해 정확한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다.

 

검사 결과 증상이 심각하다면,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어깨힘줄과 충돌되는 견봉 부위를 다듬어주는 견봉성형술을 하거나 어깨힘줄이 파열된 경우, 어깨힘줄을 봉합하는 수술을 해야 한다.

 

3. 어깨충돌증후군의 단계

 

어깨충돌증후군은 3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각 단계별로 연령층과 증상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1단계는 25세 이하의 활동적인 환자에서 어깨 과사용 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주로 어깨 앞쪽에 통증이 발생하며, 보통 운동 치료 등으로 완치가 가능하다.

 

2단계는 25세에서 40세까지의 연령층에서 나타나며 반복되는 통증과 근육이 굳어지는 섬유화가 진행되며 근육통이 반복된다. 팔을 들 때처럼 특정 자세에서 불편함을 느끼고, 운동 치료만으로는 재발하는 경우가 많고, 심한 경우 수술을 요하기도 한다.

 

3단계는 40세 이상에서 나타나며 회전근개파열 등으로 진행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술을 통해서만이 완치가 가능하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