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있소
하지부종 증상, 진단 검사, 치료 방법 본문
'하지부종 증상, 진단 검사, 치료 방법' 포스팅을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하지부종이란?
하지부종은 신체가 체액을 조절하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사람의 몸은 일상생활을 통해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고 노폐물을 배출시켜 체액의 양을 조절하는데 여러 원인으로 혈액순환 활동이 원활하지 못할 때 하지부종이 발생합니다.
하지부종을 방치하고 오래 놔두게 된다면 정맥 내부의 판막이 손상되고 혈액이 역류하는 하지정맥류로 발전될 수 있고 피부착색, 하지의 습진, 궤양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2. 하지부종의 증상
1) 자주 다리가 붓는다
2) 심한 경우 오전과 오후 사이에 다리 굵기가 완전히 다를 정도로 부어 오른다.
3) 잠잘 때 극심한 다리의 피로감을 느낀다.
4) 하지에 둔한 통증이나 무겁게 느껴지는 증상이 있다.
5) 다리를 올리고 누워 있으면 증상이 사라진다.
3. 하지부종의 진단
1) 병력조사: 약물복용여부와 전신질환 동반 여부 진단
2) 이학적검사: 비만의 정도, 통증 동반유무, 육안적 정맥이상, 피부 변화를 진단
3) 혈액검사: 간, 콩팥의 기능이상, 갑상선 호르몬 이상을 진단
4) 혈관초음파검사: 정맥기능, 심장기능의 이상을 진단
4. 하지부종의 치료방법
- 만성정맥 부전: 의료용 압박스타킹, 약물치료
- 심부정맥 혈전증: 항응고제 치료, 수술적 치료
1) 압박스타킹을 착용한다 압박스타킹은 발목 쪽의 압력이 가장 높고 위로 올라 갈수록 압력이 낮아지는 원리를 이용해 다리 밑으로 쏠리는 정맥 피를 심장으로 원활히 올려보내 정맥 피의 역류를 방지합니다.
2) 하지거상 운동을 한다. 자기 전 30분에서 1시간 정도 하지를 올려 놓고 발목 운동을 한다.
3) 자주 발끝으로 서는 운동을 한다.
4) 장시간 앉아서 일하는 경우 자주 발목을 움직여 준다.
5) 장딴지 근육을 수축 시킬 수 있는 운동을 시행한다. (산보, 자전거타기, 수영 등)
6) 무거운 물건을 드는 정적인 운동은 피한다.
7) 체중을 줄인다. (과체중은 정맥에 지속적인 압력을 가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상 '하지부종 증상, 진단 검사, 치료 방법' 포스팅을 마칩니다.
'트렌딕, 앎을 선도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맥경화에 좋은 운동 (0) | 2023.06.24 |
---|---|
다리 부종에 좋은 음식 4가지 (0) | 2023.06.24 |
노인 다리가 붓는 이유, 노인 하지 부종 원인 (0) | 2023.06.24 |
겨울철 몸 건강에 좋은 차 7가지 (ft. 동맥경화에 좋은 차) (0) | 2023.06.24 |
두뇌 & 뇌혈관에 좋은 영양제 (0) | 2023.06.24 |